|
원시댄스(primetive dance)는 거의 대부분이 무용수들 간에 신체적 접촉 이 없이 동성들에 의하여 춤추어져 왔다.
사교댄스(social dance)는 본질적으로 커플댄스(couple dance)이고 '슬로우 댄싱'(slow dancing)은 단순히 손을
잡거나 가벼운 신체접촉을 수반하다. 사교댄스는 춤의 모든 형식을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즐거움과 레크리에이션의 성격을 띄고 있다. 최초의 사교댄스는
유럽의 민속무용과 농민들의 춤이라고한다. 예를들면 베스(bass,dir 1350-1550) 댄스 와 파반스(pavanes,
dir1450-1650)은 글라이스딩 스텝(gliding step)으로 행해진 장중한 공식적 춤이었다. 이 두가지 춤은 항상 행진하며 커플에
의하여 춤추어졌으며 그 당시 귀족들의 호감을 쌓게 되었다. * 14세기 초 라운드 댄스 : 무용수들이 손을 잡고 길게 또는 개방 혹은
폐쇄원형으로 움직이며 춤추 어졌다. * 16세기 : 영국의 궁전에서 춤추어졌으며 1820년까지 유행하였다. * 17세기 : 춤의
작은 (menu)스텝이라는 말에서 유래된 프랑스이 미뉴엣(minuet)이 보샹(beauchamps) 에 의하여 개발 * 18세기 초:
프랑스의 민속춤 코티리온(cotillion : 농부들이 입은 짧은 베 치코트)은 영국에서소개 되어 인기를 얻음 * 1740년 :
프랑스에서 4커플을 위한 스퀘어댄스가 추어졌는데 이것은 코티리온 민속춤에서 전해진 것이라 추정된다. * 19세기이전 : 비교적 작은
볼룸댄스가 서양식 댄스의 모태가 되었다.
볼룸댄스(ballroom dance): 무도장 혹은 댄스홀에서 행하여진 춤이라는 의미에서 기원됨 18세기는 오픈-커플
댄스가 성행하였다. 특히 19세기 미뉴엣(minuet)이 활발해졌으나 1980년 컨츄 리 댄스에 의해 사라져갔다. 프랑스의
카드릴(quadrille : 4사람이 한 조가 되어 춤추는 스퀘어 댄스)성행하게 영국에서도 4커 플 뿐만 아니라 2커플, 혹은 더많은 커플이
함께 춤추도록 고안되어졌다. 볼룸댄스의 특징은 한 쌍의 남녀가 함께 춤춘다는 것이다. 중세 후기의 탄W는 커플댄스(couple dance)을
의미한다. 무용의 대중화를 꾀한 비엔나 왈츠는 18세기 무렵부터 유럽에서 유행하였으며 19세기에는 탬포가 빠른 비엔나 왈츠가 많이 춤추어졌으며
19세기 초 요한 스트라우스(Johann Strauss)부자가 왈츠곡 을 작곡하여 직접 연회장에서 연주함에 따라 왈츠는 귀족 뿐만 아니라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게 되 었다. 지금도 '비엔나 숲속에서' '아름다운 도나우강' 등의 왈츠 명곡을 들으면 그 당시 왈츠 전성 기를 상상할 수
있다. 그 이후 영국의 '보스턴 왈츠'(Boston waltz)와 '원 스텝'(One step)등이 나 왔과, 제 1차 세계대전 때 미국으로
건너가 발달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볼룸댄스란 명칭은 1922년 개최된 세계 프로페셔널 선수권대회에서 처음 정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하 였다. 그
이전에는 댄스의 명칭은 왈츠, 탱고, 부루스 등 종목별로 댄스 음악의 명칭을 그대로 사 용하였다. 국제댄스스포츠연맹(International
Dance Sport Federatation: IDSF)판생도었고 프로단체인 국제 무도평의회(ICBD)도 세계무도형의회(World Dance
& Dance Sport Concil : WD & DSC)로 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세계무도사에서 볼룸댄스라는 명칭대신
댄스스포츠(Dance sport)라는 새로운 용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서양식 댄스 처음 시작한 것은 1905년 청국공관이 개최한 무도회였으며, 1926년 신 무용이 도입되기
이전까지는 서양의 음악과 춤이 무도대회란 이름으로 소개였다. 8.15광복으로 서구의 문물이 도입되면서 지루박(Jitterbug)등 사교댄스가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6.25전쟁을 거 치면서 사교댄스 인구가 급격히 증가 하였다. 최초의 전국 무도 선수권대회는 1959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한국일보주최로 열렸으나 국내 사정으 로 오랜동안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1969년 대한 무도예술협가 당시 문화공보부의 사회단체로
등록 1970년 문교부의 허가를 얻어 사단법인 한국무도 교육협회가 설립됨 1976년 국제 무도평의회(ICBD)국제기구에 가입함 1988년9월
서울 올림픽기념 국제 스포츠댄스 대회를 개최 (유고슬라비다, 항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일본등 4개국참가 국제 아마추어 무도인 평의회(ICAD)가
회원국들에게 볼룸댄스 대신 댄스스포츠라 는 명칭 사용 그때부터 무도를 스포츠댄스 혹은 댄스스포츠로 명명하기 시작 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
청년캠프(Olympic Youth Camp)에서 처음으로 볼룸댄스라는 명칭대신에 댄스스포 츠라는 이름아래 첫 대회를 개최하여 국제부대에
데뷔하였다. 1990년 체육시설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서울 올림픽 이후 무도학원의 양성화 1997년 KASDC 서울총회에서 단체의
명칭을 한국 댄스 스포츠연맹(Korea Dancesport Federation : KDF)으로 개칭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한국무도교육협회(1970). 한국댄스스포츠연맹 한국무도평의회(1990) 한국무도강사협회(1996) 대한스포츠댄싱연맹(1997) 이상 5개의
무도단체가 있다.
|
|
|